커뮤니티
사는 이야기
살아남는 생활형숙박시설 vs 그렇지 못한 생활형숙박시설
정부가 용도변경의 문턱을 낮추며 생숙의 매매 호가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음
'별내역 아이파크 스위트', '힐스테이트 스위트' 단지는 대표적 생숙 단지로 별내역 근처에 자리 잡아 규모만 1500실 이상이 됨
그동안 거래가 끊긴 상태였지만, 정부가 '생숙 용도변경 지원방안'을 발표한 이후 대표 수혜단지로 다시 거래 늘고 있음
다만 여전히 복도 폭 기준 완화 등은 법 개정이 필요하며 가구당 수천만원의 추가 분담금이 발생할 수 있음
'생숙 용도변경 지원방안'에서의 복도 폭이 오피스텔 기준(1.8m)에 미치지 못해도 보완시설을 인정해주는 것은 건축법 개정이 필요한 사항임
또한 지구단위계획상 오피스텔 입지가 불가능하거나, 외부 주차장을 만들어야할 경우 소유자들이 부담금을 내야함
시행사가 200억원 규모의 기부채납을 통해 오피스텔로 용도변경한 '롯데캐슬 르웨스트'가 대표적 사례임
전남 여수 '웅천 자이더스위트' 소유자들은 가구당 3000만원 씩 분담해 외부 주차장을 설치하고 오피스텔 용도 변경을 마침
위에서 언급한 별내역 생숙 단지 역시 지구단위계획 수정을 위한 기부채납이 필요한 상태임
다만, 소유자들이 분담금을 부담한다고 해도 위치상 용도변경이 어려운 경우 또한 존재함
'힐스테이트 시화호 라군 인테라스' 단지는 2500실 이상의 생숙이 공사중이지만, 국가산업단지인 반월특수지역 인근에 위치해 외부 주차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