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문
딜 아고라
2025-01-14
45
0
회계
PFV/펀드/리츠/SPC 개발시 장단점

오늘의 질문

개발 비히클을 PFV/펀드/리츠/SPC로 했을때

특징이나 장단점이 정리된 자료가 있을까요?


리테일사 에서

오피스 / 물류인경우는

운용사를 통한 회사형 펀드 방식이 엑싯구도상 편하실겁니다.

출자자로서 장기 임차 건뒤,

금리 인하기에 매각하여 매각차익으로 회수하는게 

PF 조달 , 매각 상환 방식에서 봐도 유리할듯합니다.

리츠는 인가나  설립과정이 좀 손이 많이가고,

PfV는 연결 이슈가 있고,

(연결이슈 없게 지분조정하다보면 사공이 많아서 산으로갑니다)

SPC는 타 구조에 비해 실익이 적습니다.

시리즈물 개발을 염두하신다면,

모자형 펀드 세팅하여

자펀드에 capital call 출자하시고

개별 프로젝트별 모펀드 설립하여,

각 모펀드건이 자펀드에 회수되어

차기 프로젝에 또 출자할수 있는 시스템이 되면 담당분이 매우 편하실듯함다

운용사별  수탁업자와 통짜계약등이 있어,  일정규모 운용사는 작은 금액의 펀드설정에도 무리가 없더군요.

수익자 관련해서

1) 메인 수익자는 gs측이하고,

2) 모자형 세팅을 근거로  운용사 pi 일부출자

3) 단독 사모 이슈 회피목적

준공후 물건 PM&fm사 측에 정액 출자(3억이내)

요정도면  수익자 이슈는 해소됩니다

사공도 하나 밖에 없어 딴지걸 사람도 없구요

요즘 fm사 중 규모가 있는 곳에서는

Ref 출자하고

해장 펀드 보유 물건에 용역 확보하는 전략도 구사하시더라구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신고